<p></p><br /><br />북-미간 비핵화 협상이 멈춰선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 특사단이 내일 평양을 방문합니다. 대화의 활로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보도본부 하태원 부장과 뉴스분석으로 이어갑니다. 분석키워드 부터 주시죠. <br> <br>우리 특사단의 마음가짐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바로 이 키워드일 것 같습니다. 바로 <배수진> 인데요. 비장한 각오로 내일 아침 방북길에 오를 것 같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꼭 6개월 전이고 특사단 면면도 동일한데, 내용을 뜯어보면 분위기가 사뭇 다른 것 같습니다. <br><br>3월 방북이 이미 성공을 예약하고 떠났던 꽃길이었면, 이번에는 모든 것이 불확실한 가시밭길로 비유하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. <br> <br>1차 특사단 방북은 최초의 북-미정상회담에 합의가 이뤄진 뒤라 땅짚고 헤엄치는 느낌이었지만, 이번에는 폼페이오 방북과 2차 정상회담을 견인해야 하는 고단한 여정입니다. 더욱 극명한 차이는 3월 방북 때는 이미 특사단의 김위원장 면담이 확정된 상태였다는 점입니다. <br> <br>3월 방북 당시 화기애애했던 장면을 보고 계신데요. <br> <br>노동당 청사에서의 면담과 만찬은 4시간이 넘도록 이어졌고, 리설주-김여정이 모두 참여한 만찬장에서는 애주가로 소문난 김 위원장과의 술자리가 벌어졌습니다. <br><br>[질문2] 고난도 임무를 띠고 방북하는 특사단이 어떤 꾸러미를 가지고 갈지도 궁금한데요. 아무래도 남북정상회담 일정을 확정하는게 주요임무가 되겠죠? <br> <br>4월 판문점 정상회담 당시 9월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다는 합의만 있었을 뿐 이라는 점에서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일정과 의제를 협의하는게 첫번째 보따리가 될 것 같습니다. <br> <br>제일 궁금한게 언제 정상회담이 열리느냐 일텐데요. 9월 9월 정권수립 70주년 기념식이 열리는 주는 물리적으로 정상회담을 준비할 수 있는 여력이 없어서 불가능합니다. 23일주 역시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총회 방문 및 연설일정이 있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. 결국 17일주가 남게되는데 현재로선 18-20일 2박 3일 일정이 유력해 보입니다. <br><br>[질문3] 사실 더 어렵고 무거워 보이는데 두번째 보따리일 것 같은데요. 비핵화 협상에 대한 중재가 결국 관건 아니겠습니까? <br><br>토라진 북한과 냉담해진 미국이 다시 마주 앉을 수 있도록 두번째 중매를 해야한다는 부담이 있습니다. 첫 만남 이후 불신이 커진 탓에 더욱 어려워진 셈입니다. <br><br>결국 북한이 목을 매는 종전선언과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 초기조치 이행을 중간에서 어떻게 보증하느냐가 관건일텐데요. 김정은 위원장이 핵신고서 제출 및 비핵화 일정을 내놓을 수 있느냐가 이번 방북의 성패를 가를 잣대가 될 것 같습니다. <br><br>[질문4] 이 모든 것이 결국 김정은 위원장을 면담할 수 있느냐 아이냐에 달려있을 것 같은데요. 정의용 특사는 좀 신중한 모습을 보였죠? <br><br>문 대통령 친서는 가지고 가지만 면담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는 것이 조금전 끝난 정의용 특사 브리핑의 요점입니다. <br> <br>일단 정부당국자들은 면담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 같구요. 면담이 이뤄진다면 다시 한번 정 특사의 깨알메모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의 요구사항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달되고 딜이 이뤄진다면 폼페이오 방북과 2차 북미회담 일정도 비로소 다시 시동을 걸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보도본부 하태원 부장이었습니다. <br>